- 독립유공자 후손 13명 한국 국적 취득
-
- 2012.08.29 18:52 입력
[시사중국] 광복절을 앞둔 지난 13일, 독립유공자 후손인 조선족 13명이 한국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에서 대한민국 국적을 부여 받았다. 독립유공자 후손에 대한 국적증서 수여식은 2006년 이래 일곱 번째다.
국적증서 수여식에서 박도백 선생의 손자 박승천(46)씨가 대표로 선서를 했다. 박도백 선생은 1919년 부산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다 1년 3개월의 옥고를 치르고 만주로 건너가 독립운동을 했다. 박씨는 “어렸을 때 일찍 돌아가신 할아버지의 기억은 없었지만 역사책을 보고 할아버지의 역사를 찾게 됐다”고 말했다. 증손녀 금련(30)씨도 국적을 취득했다.
박씨 등 독립유공자 후손 13명은 이날 법적으로 ‘대한민국 국민’이 됐다. 1919년 4월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하다 일본 경찰에 체포돼 1921년 평양형무소에서 사형 선고를 받은 최일엽 선생의 증손녀 둥하이(37)·둥장(34)씨도 함께 국적 취득의 기쁨을 누렸다.
만주와 간도에서 항일무장투쟁을 벌인 이명순 선생의 증손녀 이진숙(49)씨와 러시아령 니콜리스크에서 러시아어 항일신문 ‘학생과 목소리’를 발간하며 민족해방운동을 벌인 김아파시나 선생의 손녀 김율리야(35)씨 등도 국적을 받았다.
고려인 아버지와 러시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김씨는 1998년 고국에 돌아와 한국인 남편과 가정을 이루고 살고 있다. 올 초 국적 획득 신청을 한 뒤 친자확인 절차를 걸쳐 대한민국 국민이 됐다. 김씨는 “큰 영광”이라고 소감을 말했다.
'동포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변, 조선족자치주 60주년 기념 (0) | 2012.09.11 |
---|---|
中대련에 한국영사사무소 개설 (0) | 2012.09.11 |
“中연변 조선족 홀몸노인 비율 높아” (0) | 2012.08.31 |
일흔 넘어서 한국인 된 독립운동가 손자 (0) | 2012.08.31 |
조선족 사회 묶는 연변축구팀 (0) | 2012.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