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동포 취업비자 만기로 인력난 비상
-
- 2012.10.31 21:20 입력
[시사중국] 한국 정부가 지난 2007년부터 방문취업제도를 시행하며 중국 동포들에게 발급했던 비자가 올해부터 만기를 맞고 있다.
비자가 만료된 중국 동포들이 빠져나가면서 한국 영세업체들은 인력을 구하느라 비상이라고 한국 언론(YTN)이 24일 보도했다.
공장에서 일하는 중국 동포 김순녀 씨는 방문취업 비자를 받고 한국에 들어온 지 4년째다. 올해 말이면 비자가 만료되지만 연장할 방법을 찾지 못해 중국으로 돌아가야 한다.
김씨는 “급여도 높고 일감도 많아 계속 회사에 남아 일하고 싶은데 비자가 만기 돼서 (중국으로)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회사 측에서도 비자 연장에 도움을 못 준다.
한국 정부가 중국 동포에게 4년 10개월짜리 방문취업 비자를 발급하기 시작한 건 지난 2007년. 올해부터 비자 만료 기한이 도래하면서 방문취업 비자를 가진 중국 동포가 급격히 줄고 있다. 지난 1월 29만 명에서 현재는 25만 명이 남아 있다.
직격탄을 맞은 건 중소 제조업체와 영세 식당이다. 인건비는 적게 들면서도 한국말이 가능하고, 한국인이 꺼리는 3D 업종도 마다하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중국 동포를 고용했던 곳들이다.
직업소개소 전무인 추영길 씨는 “비자 변경 관계로 들어가시는 분이 참 많다”면서 “그래서 대체할 수 있는 인력들을 (회사에서)많이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1년 이상 일한 중국 동포에게는 출국 6개월 안에 비자를 다시 발급해 30만 명 수준을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농축어업이나 지방 제조업체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된다.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대표 노진원 씨는 “작년 7월인가 이후에 입국하신 분들은 수도권에서는 F4(장기체류비자)로 변경이 안 된다고 전해 들었다”면서 자신들 회사에도 그런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어느새 한국 인력시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게 된 중국 동포들. 가뜩이나 경기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떠나버린 중국 동포들의 빈자리를 채우느라 영세업체들은 오늘도 동분서주하고 있다.
'동포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동포, 보험금 노리고 방화 자작극 (0) | 2012.11.28 |
---|---|
중국동포 자격증 열풍속 부작용도 발생 (0) | 2012.11.28 |
조선족 ‘신발왕’의 성공 비결은? (0) | 2012.11.28 |
한국자격증 취득교육, 연길서 실시 (0) | 2012.10.30 |
한국 보험사들, 조선족 사회에 눈돌려 (0) | 2012.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