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대부터 인식된 경락 |
[시사중국] 현대 의학의 해부학 그림에서는 전신을 그물과 같이 둘러싸고 있는 혈관과 신경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한의학에 기재되어 있는 경락의 존재는 현재까지 확인되고 있지 않다.
한의학 이론에 의하면, 경락은 그물과 같이 전신에 둘러싸고 있으며 속에는 진기(眞氣)가 흐르고 있다. 경락 위에는 구멍 모양의 포인트가 있는데 이것이 침구 치료시 침으로 자극하는 경혈이다. 경락은 침구 치료뿐만 아니라 한의학의 모든 치료, 예를 들면 추나, 안마, 점혈, 접골, 한약 치료 등에도 빠뜨릴 수 없는 이론 중 하나다.
한의학에서는 병의 발생 원리에 대해 경락의 흐름에 문제가 생겨서 온다고 보고 있다. 어떠한 원인으로 경락의 흐름이 나빠져 병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침구 치료나 한방 치료도 주로 경락의 흐름을 저애하는 것을 제거해 그 흐름을 회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의학 이론은 경락을 생명체 구조의 일부분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인간만이 아니라 동물이나 식물에도 경락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침구 치료는 동물이나 식물에도 똑같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락은 생명체의 일부로서 존재하고 있지만 현대 과학에서는 인식할 수 없다. 고대인들이 어떻게 경락을 인식할 수 있었는지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그 중 하나는 고대의 수련법과 관련된다. 수련자는 자신의 생명 상태를 제고시키는 과정에서 현대인이 말하는 다양한 ‘초능력’을 몸에 지니게 된다. 이러한 ‘초능력’으로 인체를 관찰하면 경락의 존재가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중국 명나라 유명 의학자이자 ‘본초강목’의 저자인 이시진(李時珍) 역시 ‘기경팔맥고(奇經八脈考)’라는 저서에서 “경락이라는 것은 체내가 보이는 능력을 갖춘 사람 밖에 관찰할 수 없다”고 쓰고 있다.
http://sscn.kr/news/view.html?section=2&category=10&page=1&no=1383
'문화·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동파의 윤회이야기 (0) | 2012.02.15 |
---|---|
디즈니 여주인공 실사판 화제 (0) | 2012.02.15 |
남가일몽(南柯一夢) (0) | 2012.02.15 |
‘흉가가 명당으로 변한 이야기’ (0) | 2012.02.15 |
‘응석을 받아주면 자녀를 해친다’ (0) | 2012.02.15 |